테미소식 TEMI NEWS

2016 결과보고전

2016.10.02

2016 결과보고전 - 이상적인 존재들

강 정 헌 Kang Jung Hun

 

- Artist Note -

내가 꽃이었을 때
판화지(cotton paper)를 목화로 만든다는 것에 착안하여 직접 목화를 재배하여 판화지를 만들기로 했다. 작업실 안팎에서 목화를 재배하고 그렇게 수확한 목화를 이용하여 판화지를 만든다. 그 판화지에 작품을 찍는 과정을 기록하고 전시하는 1년 기획 프로젝트이다. 4월에 판화지 위에서 발아시킨 씨앗을 흙에 심어서 재배한다. 일주일 간격으로 발아시킨 목화를 전시하고 전시 기간 동안 전쟁 관련 뉴스에서 나오는 붉은색과 푸른색 빛을 이용하여 식물에게 필요한 가시광선을 공급하고 여러 장치들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힘들고 열악한 상황에서도 치열하게 예술 활동을 하는 작가들이 살아남기 위해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해 보고자 한다.
- 작가노트 中에서 -

When I was a flower
I heard that printmaking paper is made from the flower of a cotton plant. Therefore, I have decided to make cotton paper by cultivating the cotton
flowers myself. I have begun to cultivate cotton flowers at my studio both indoors and outdoors. Afterwards, I intend to make printmaking paper using the harvested cotton wool. It is a one year project which will consist of a record of films and written memos about the process for making a print without using ready-made goods. In April, I let the cotton flower seeds germinate on top of the printmaking paper and the seedlings were then transplanted into lots of pots. Further to this, I have used various devices and installations that I discovered and created for the plants, which I converted from their original purposes of use. These pieces of apparatus have helped the cotton flowers survive an indoor environment. From this project,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an artist who struggles in poor surroundings has to do in order to survive in their everyday life.
- Artist Note -​

 

김 지 수 Kim Jee Soo

 

“잡초란 아직 그 가치를 발견하지 못한 식물이다.”- 랄프 왈도 에머슨
소리를 듣고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고, 냄새 맡고, 기억할 수 있는 식물의 감각 세계는 삶의 또 다른 ‘신비(mystery)’가 된다. 이러한 다른 생명체와의 교감과 다양한 의사전달 방식의 체험은 우리를 또 다른 세계로 안내한다. 천천히 혹은 빠르게 끊임없이 움직이는 식물이 감각하는 시간은 식물과 사람과의 깊은 교감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식물의 반응과 소통, 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유한한 지구에서 다양한 생명체들의 더불어 사는 지속가능한 공존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What is a weed? A plant whose virtues have not yet been discovered.”
- Ralph Waldo Emerson
The world of senses related to plants – hearing and making sounds, seeing, smelling and remembering - forms another mystery in life. Experience of communion and diversified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reatures lead us to a new world. The time taken by plants moving slowly or swiftly to feel sensation presents an opportunity for deep communion between plants and human beings. It speaks of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coexistence with various creatures on the finite earth through the plants’ reaction to as well as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with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

 

전 보 경 Jun Bo Kyung

 

작가는 문명의 세계에서 배제된 세이렌을 오늘날 발견해낸다. 교육기관의 전문적 미학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삶에서, 직업에서 아름다움을 구축하고 지켜나가는 이들에게서 발견해낸다. 재개발의 열풍으로 사라져가는 가옥들과 전통의 흔적이
가진 가치를 투어로 만드는 사람, ‘썬팅’이라는 직업을 예술이라 부르며 몇 십 년 동안 계속해 온 추교은 할아버지. 맞춤 양복을 위해 한 땀 한 땀 손바느질을 이어나가는 이성진 할아버지가 축적한 재단과 바느질 감각… 작가가 찾아낸 현대판 세이렌들의 ‘미적인 것’들은 자끄랑시에르를 연상시킨다. 미학의 정치가 미처 눈을 돌리지 못해 분할되었던 이들에게서 비미학의 감성을 발견하고, 이들을 ‘무지한 스승’으로 초대하고자 한다. 이들의 반짝이는 불협화음은 비미적인 것들이 근대의 미학의 잣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아니면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출해내지는 않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The artist discovers Sirens that are driven out of today’s civilized society. These sirens can be found in people who have built and cultivated own beauty in their life and work, although they have not received professional aesthetic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art institution. For example, one who finds value in traditional old houses and folk culture, which are quickly disappearing in the redevelopment fever, and turns it into a tour program; an old man who has dedicated decades to window tinting, turning into art practice over 40 years; and another old man who continues to create tailored suits using his seasoned tailoring and sewing skills over 55 years. The ‘aesthetic things’ pursued by today’s Sirens that the artist has discovered reminds Jacques Rancière’s philosophical assessment between politics and aesthetics. It is intended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life, as well as the partitions thought to exist between the arts themselves. In doing so, the artist tries to discover the sensitivity of inaesthetics from people who have been neglected from the politics of aesthetics, and invite them as ignorant schoolmasters. Their shining dissonance questions the possibility that the inaesthetics might have a meaning in the perspective of modern aesthetics as well as create a new kind of beauty in art and life.


최은경 Choi Eun Kyung

서쪽 초행길 The First Trip to the West, 캔버스에 유화, 61×73cm, 2016

그림의 어원은 ‘그리움’이라 한다. 어원적으로 동사 ‘긁다’ 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말(言)로 긁으면(그리면) ‘글’이 되고, 선이나 색으로 긁으면(그리면) ‘그림’이 되는 것이다. 어떤 생각이나 모습을 마음속에 긁는(그리는) 것이 ‘그리움’ 인 셈이다. 그러니까 ‘그림’이란 무언가에 대한 부재와 연민으로 비롯된 ‘그리움’이며, 무언가를 잊지 않으려고 ‘긁는 (그리는)’ 행위인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그림을 그릴 때 통상
본 것을 그린다고 말하지만(생각하지만), 결국엔 무언가를 잊지 않으려고, 우리의 소회와 기억을 통해 그리는 것이다. 어쩌면, ‘그리움’이란 늘 오늘 같지만, 어제이자 내일인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의 우리 앞날의 풍경이자 삶에 대한 만화경 같은 비망록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업들은 ‘어제’에서 비롯된 오늘 같은 앞날의 풍경을 ‘그리움’ 으로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때 오늘과 내일 내가, 우리가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

The Korean word ‘geurim (picture)’ is known to have been derived from the word ‘geurium(longing)’. It is also said to have come from the verb ‘geulkda (scratch)’. When one scratches words, they form ‘geul (writing)’, and when one scratches lines or figures, they form a picture. Thus, scratching (drawing) a thought or figure in one’s mind constitutes a longing. It means that a picture is a longing due to absence of or sympathy for something, and it is an act of scratching (drawing) something in an attempt not to forget it. We say (or think) when we draw a picture that we draw what we have seen, but we actually draw something based on our impressions and memories of it in order to not forget it. Perhaps longing is an outlook on the future - which is always like today but is also yesterday and tomorrow – when we renew ourselves every day;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memo like a kaleidoscope about life.
In this sense, these works are intended to show the outlook on the future, which is like today based on ‘yesterday’, as a longing. What was it that I, and we, saw today and tomorrow?


홍원석 Hong Won Seok

개인의 형태가 집단적으로 가면서 하나의 역사적 기록이나 기억이 되었을 때, 어떤 정체성이 형성될 것 인가. 작가의 삼대에 걸친 택시집안의 여섯 가지 이야기를 함축적으로 담은 TAXIDERMIE 티저영상은 작가의 홀로 병드신 할머니와 모범택시기사가 된 아버지, 아트택시로 승화한 작가 본인의 얽히고설킨 인생역정을 그리고자 했다.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만 박제된 이미지와 영상들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 그들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이 숙명적으로 대면해야 하는 자연과 영혼의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 영상 속 러닝타임은 6분 24초로 돌아가신 작가의 아버지 생신(6월 24일)을 기리며, 영상 속에서 새로운 상징물의 자동차가 등장한다. 이렇듯 그의 작업은 한국의 사회적 조건, 역사적 조건 속에 본인이 어떻게 뿌리내리고 있는지 예술의 형태로 시각화하여, 미지의 경험들과 우리를 매개해 줄 미디어를 실험해보고자한다.

When individual forms become collective and turn into a historical record or memory, what kind of identity will be formed? The TAXIDERMIE teaser video briefly showing six episodes of the artist’s taxi driver family of three generations is intended to show the lives full of ups and downs of the sick widowed grandmother, her deluxe taxi driver son, and the grandson who has carried out the Art Taxi project. Images that do not exist at present but have been taxidermied belong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hey are presented to take on the issues of nature and soul that a person should fatefully encounter as he/she searches for the self. The running time of the video is 6 minutes and 24 seconds, honoring the artist's father’s birthday of June 24, and a car appears in it as a new symbolic icon. His works visualize how he has taken root in Korea’s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in an art form, attempting to experiment with media that will mediate between us and unknown experiences.

 

 

 

 

 


​ 

댓글남기기
이전보기목록보기다음보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주소복사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